이슈메이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이슈메이커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2254) N
    • 매거진 (924)
    • 단독 인터뷰 (106)
    • 이슈 인터뷰 (937) N
    • SNS INSIDE (47)
    • IMtv 아이엠티비 (207)

검색 레이어

이슈메이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슈 인터뷰

  • [the CEO] 김태웅 법률사무소 간성 대표 변호사

    2025.06.02 by issuemaker

  • [Cover Story] 최나다 나다움커리어랩 대표

    2025.05.27 by issuemaker

  • [히든챔피언] 기영애 꽃스러움 대표

    2025.05.16 by issuemaker

  • [히든챔피언] 김희정 어나더그로우(anothergrow) 대표

    2025.05.14 by issuemaker

  • [한국의인물 - 두피 생장술 전문가 부문] 김리원 모백(MO100) 대표

    2025.05.14 by issuemaker

  • [히든 챔피언] 유채연 그레이프메모리 대표

    2025.05.02 by issuemaker

  • [히든 챔피언] 하유정 포인티브랩 대표

    2025.05.02 by issuemaker

  • [Cover Story] 이재경(봄코치) 코칭 퍼스트클래스 대표

    2025.04.28 by issuemaker

[the CEO] 김태웅 법률사무소 간성 대표 변호사

“의뢰인의 옆을 지키는 ‘방패’가 되어드립니다” 의료법인·스타트업 맞춤 솔루션으로 리걸 리스크 해소 창업 경험 기반으로 경영자와 ‘동행’하는 변호사 지향 사업가는 어느 하루도 마음 편안한 날이 없다. ‘앞에서 남아도 뒤로 깨지는’ 것이 사업이기 때문이다. 특히 매출 증대라는 기업운영의 ‘업사이드’ 측면에 몰입하다 보면, 리걸 리스크 등 ‘다운사이드’ 측면의 이슈가 간과되기 십상이다. 경영은 도전과 수성(守城)의 외줄타기라는 말에 과함이 없는 것이다. 불확실한 시대, 경영의 필수 과제 ‘리걸 리스크’ 관리 치열한 경쟁과 불확실한 환경 속 현대 사회의 기업들은 다양한 법적 규제와 요구사항으로 인해 ‘법률(리걸) 리스크’에 직면하는 일도 과거에 비해 늘어났다. 이는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

이슈 인터뷰 2025. 6. 2. 15:04

[Cover Story] 최나다 나다움커리어랩 대표

나다움으로 채운 삶, 무지갯빛 가능성의 증명 질문으로 시작된 커리어의 전환, 코칭이라는 해답을 만나다 ‘일의 재구성’을 넘어 ‘삶의 회복’으로 이끄는 코칭의 힘 시대가 요구하는 ‘일’의 정의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생계를 넘어, 자아를 구현하는 수단으로서의 일, ‘나다움’을 표현하는 언어로서의 커리어가 주목받는 지금, 잡크래프팅(Job Crafting)는 일의 방식이 아니라 존재의 방식을 다시 묻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 한가운데, 고요하지만 단단한 울림으로 사람들의 길을 밝혀온 한 사람이 있다. 공학도의 논리와 거대한 조직의 구조 안에서 자신의 존재를 정직하게 마주했던 한 여성이, 이제는 코치로서 타인의 가능성을 비추는 거울이 된 것이다. 일의 크기보다 이유에 집중하고, 무엇보다 그 사람이 진..

이슈 인터뷰 2025. 5. 27. 09:47

[히든챔피언] 기영애 꽃스러움 대표

“꽃은 마음을 피우는 기술입니다” 기영애 꽃스러움 대표 사진=김남근 기자 - 꽃의 가능성, 브랜드가 아닌 생태계를 짓다 - 플로리스트를 넘어 인생 설계자로, 감각을 나누는 창업가의 여정 인생의 다음 챕터를 고민하던 시기, 기영애 대표는 꽃을 마주했다. 손끝에 전해지는 섬세한 감촉, 질감과 선이 만들어내는 조형적 아름다움. 그것은 단지 장식이 아니라, 생각을 정리하고 감각을 회복하게 하는 새로운 언어였다. 꽃을 배우며 시작된 그 길은 어느새 사람을 돕고 삶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꽃을 통해 가능성을 찾고, 관계를 설계하고, 일의 기회를 만들었다. 그녀의 손에서 탄생하게 된 ‘꽃스러움’은 플로리스트 양성소를 넘어, 사람과 감정이 피어나는 감성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 독일 FDF Fl..

이슈 인터뷰 2025. 5. 16. 09:10

[히든챔피언] 김희정 어나더그로우(anothergrow) 대표

공간에 삶을 담는 디자이너 김희정 어나더그로우(anothergrow) 대표 사진=김남근 기자 - 공간에 문화를 담는 진정성의 힘 - 철저한 진심과 세심한 디자인으로 고객을 사로잡다 공간을 바라보는 눈이 사람의 삶을 결정짓는다. 김희정 어나더그로우(anothergrow)의 대표는 인테리어를 단지 외형적 아름다움이 아닌 사람과 문화, 삶의 질을 높이는 일로 여긴다. 어릴 적부터 공간에 대한 뜨거운 호기심으로 시작된 그녀의 여정은 대형 인테리어 기업에서의 안정된 삶을 벗어나 자신만의 진정성 있는 스튜디오로 귀결되었다. 그녀의 디자인은 단순히 아름답기만 한 공간을 넘어서, 그 안에서 살아갈 사람의 숨결과 이야기를 담는다. 김희정 대표는 고객의 일상적 습관, 사소한 취향 하나까지 세심히 반영해 그 사람만의..

이슈 인터뷰 2025. 5. 14. 13:21

[한국의인물 - 두피 생장술 전문가 부문] 김리원 모백(MO100) 대표

두피에 대한 진심, 생장술의 기준을 바꾸다 김리원 모백(MO100) 대표 ⓒ 모백(MO100) - 시스템으로 바꿔낸 뷰티 현장의 실전 기록 - 뷰티와 탈모의 경계를 허문 생장술 솔루션의 모든 것 누군가는 ‘탈모’를 이미 포화된 레드오션이라 말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아직도 가능성이 무한한 블루오션이라 말한다. 하지만 김리원 모백(MO100) 대표에게 탈모 시장은 그 어떤 색으로도 규정되지 않는다. 수천 명의 피부와 두피를 만져온 손끝에서 시작된 질문과 수많은 의문이 쌓여 두피 생장술이 되었고, 실패를 감추지 않은 기록들이 ‘모백’이라는 이름에 모이게 됐다. 브랜드보다 손의 기억을 믿는 사람. 김리원 대표는 지금도 현장에서, 여전히 사람을 먼저 바라본다. 김리원 대표는 기존에 현장에서 사용하던 기술..

이슈 인터뷰 2025. 5. 14. 13:15

[히든 챔피언] 유채연 그레이프메모리 대표

경험 기반 컨설팅으로 찾은 상생의 길 팔리는 브랜딩의 핵심은 ‘소통’ 예비 창업가 육성하며 함께 성장하는 것도 목표 흔히 기업을 하나의 생명체와 같다고들 한다. 생명이 태어나 성장하고 절정기를 지나 점차 쇠퇴하는 것처럼, 기업 역시 유사한 과정을 걷기 때문이다. 그래서 창업은 단순한 경제 활동을 넘어 사회에 다양한 가치를 창출한다. 하지만 성공과 실패가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지 예측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창업은 큰 도전이자 모험일 수밖에 없다. 전문성에 진심을 더하다 ‘창업’은 성공과 실패 사이에서 끊임없는 긴장감을 안고 나아가는 여정이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브랜딩’은 비즈니스 기회를 열어주는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일관된 정체성을 담은 브랜딩은 소비자에게 강력한 인상을 남기고, 이는 곧..

이슈 인터뷰 2025. 5. 2. 14:11

[히든 챔피언] 하유정 포인티브랩 대표

화려함보다 진실됨을, 피상적인 것보다 본질을 기획하는 디자이너, 디자인하는 기획자 대구·경북 청년과의 소통 창구도 넓히고파 ‘완벽(完璧)’은 ‘흠(欠)이 없는 구슬’, 다시 말해 결함 없이 완전함을 의미한다. 충분히 갖추어져 있어 부족함이 없을 때 우리는 ‘완벽하다’며 감탄한다. 그러나 세상 어디에도 완벽한 건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완벽하지 못한 삶을 산다고 해도 실망할 필요는 없다. 부족하지 않은 삶을 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가 중요하다. 이것은 삶은 물론 일을 하는 것에서도 마찬가지다. 정확한 포인트, 딱 맞는 아이디어 이제 의미 없는 디자인은 살아남을 수 없다. 소비자는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을 넘어 브랜드의 가치와 철학에 공감하기를 원하고, 그것이 곧 매출로 이어지기 때문..

이슈 인터뷰 2025. 5. 2. 14:10

[Cover Story] 이재경(봄코치) 코칭 퍼스트클래스 대표

사람의 가치 밝히는 리더들의 생각 파트너 1인 창업에서 글로벌 마스터 코치까지, 진심의 경로를 따라온 성장기 코칭의 본질을 알리고 삶을 변화시키는 대화의 힘을 전하는 사람 처음부터 정답을 알고 시작한 인생은 아니었다. 삶이 불확실해질수록 그녀는 질문을 더 많이 던졌다. 어느 날, 질문 하나가 방향이 되었다. 그 질문은 대단한 것이 아니었다. ‘40대의 나는 어떻게 살고 싶지?’ 그리고 그 물음은 또 다른 누군가의 삶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그렇게 코칭을 마주하게 된 이재경 대표는 전문 코치가 되었다. 코칭은 정답을 제시하는 기술이 아니라 질문과 경청을 통해 각자가 자신의 가능성과 해답을 찾도록 돕는 대화의 기술이며, 전문 코치는 그런 대화를 함께 하는 생각 파트너(thinking partner..

이슈 인터뷰 2025. 4. 28. 13: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118
다음
TISTORY
이슈메이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