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원석’의 발굴, 이제는 날아오르는 ‘나비’가 될 것
최근 종영한 tvN 드라마 ‘정년이’는 1950년대 한국전쟁 직후, 소리 하나만큼은 타고난 소녀 정년(김태리 분)의 여성 국극단 입성과 성장기를 그리는 드라마다. 특히 이번 드라마는 배우 우다비의 재별견, 아닌 발굴이라 해도 부족하지 않다. 내성적이고 소심해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누구보다 단단하고 강단 있는 모습. 작품의 커다란 두 축인 윤정년(김태리 역)과 허영서(신예은 역) 사이에서도 결코 밀리지 않을 정도로 깊이 있는 연기력과 선명한 존재감. 그가 '정년이'를 통해 시청자에게 제대로 눈도장을 찍었기 때문이다. 배우 우다비는 이번 드라마에서 주인공 정년이와 함께 우정을 쌓으며 국극 무대를 빛내는 매란국 극단 단원 홍주란 역할을 맡아 캐릭터를 온전히 제 것으로 만들며 극에 활력소를 더하는 데 성공했다. 이슈메이커는 ‘정년이’의 홍주란이 아닌 배우 우다비의 지난 희로애락을 함께하고자 그의 진심을 담아보고자 했다.
종영 소감을 밝혀달라
"방송의 막이 내릴 때 국극단 생활도 끝난 것 같아 애틋한 마음이었지만, 많은 사랑 끝에 종영해서 정말 행복하고 감사하다. 부모님이 재밌다고 얘기해주기도 하고 주변 친구들은 물론 그간 연락 안 닿았던 분들까지 연락이 오고 그러니까 정말 '정년이'를 많이 봐주는구나 느끼는 것 같다."
이번 드라마는 어떻게 합류하게 됐나
"오디션을 통해 합류했는데 처음 오디션 대본을 받았을 때 주란 역이었다. 나와 나이가 비슷한 친구들은 주란 역으로 오디션을 본 것으로 알고 있다. 합격했을 때 꿈같았다. 간절하게 바랐고 또 하고 싶었던 역할이었다."
이번 작품으로 깨달은 점이 있을까
"일단 전체적인 흐름에서 큰 그림을 보고 내 연기를 할 수 있는 시야, 시각을 가지게 된 것 같아서 그 부분에서 발전했다는 게 느껴진다. 그리고 이전에 연기했던 캐릭터들은 새침하고 도도한 역할이 많았는데 이번엔 되게 햇살처럼 밝고 천사 같은 캐릭터를 맡게 되어 스스로의 연기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다고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
배우 김태리와 환상 캐미가 인상적이었다.
"전체적인 그림을 보게 된 게 태리 언니가 그런 방식으로 연기하고 그런 부분에 대해 얘길 했기 때문이다. 언제나 온 정신을 다해 섬세하게 연기하기 때문에 그런 집중력이나 태도에 있어 배울 점이 많았다."
촬영장 분위기는 어땠나
"저희끼리 촬영장 전에 워크숍도 가고 현장에서도 여성들끼리 모여 있으니 시끌벅적하고 스스럼없이 지냈다. 연습 과정도 많았기에 후반부엔 가족처럼 우애가 쌓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직접 경험한 여성 국극의 매력은 무엇이었을까
"국극이라는 건 이전에 잘 모르는 장르였는데 보면 볼수록 한국인의 DNA 정서라 그런지 모르겠는데 '한'이라는 정서가 느껴지더라. 듣기만 해도 가슴 뭉클했다. 그냥 빠져들더라. 여성 국극은 여성끼리만 하는 극이라서 거기서 비롯되는 매력이 더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주란과 본인과는 얼마나 닮았나
"50% 정도 비슷한 것 같다. 주란이처럼 천사 같은 성격 아니지만 숨어서 자기를 갈고닦는 원석 같은 존재라고 생각했을 때 나도 뒤에서 갈고닦는 편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주란이처럼 망설이는 성격은 아니라서 원하는 게 있으면 얘기하는 편이다. 그런 점에서 다른 것 같다. 말할 게 있으면 말하고 행동하는 편이다. 주란이처럼 결단하면 뒤를 돌아보지 않는 성격인 것 같다."
이번 작품이후 팬층 역시 두터워졌다
"SNS 팔로워수도 늘고 DM도 많이 받고 있다. 원래 외국인 분들이 많았는데 시청률이 잘 나와서 그런지 국내 팬분들이 응원해 주고 메시지 보내주고 그래서 감동받는 나날인 것 같다. 아무래도 전에 맡았던 역할과 비교해서 더 호감이 가지 않았을까 싶다."
닮고 싶은 배우가 있을까
"장국영 배우를 좋아한다. 서 있기만 해도 그 존재만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정서가 전해지는 게 있더라. 영화로 접했을 때 '나도 저렇게 표현할 수 있을까?'란 생각이 든다. 그렇게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한 배우다."
대중에게 어떤 배우로 기억되고 싶나
"내가 내 작품을 봤을 때 이건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 수 있는 연기를 하는 배우가 되고 싶다. 모두의 요소에 맞출 수 없겠지만 그렇게 하면 지금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지 않을까 싶다."
이슈메이커 김갑찬 기자 kapchan17@issuemaker.kr
[히든 챔피언] 전동찬 (주)통합로지스 대표 (0) | 2025.01.02 |
---|---|
[Cover Story] 오지혜 위드오에듀컨설팅 대표 (0) | 2024.12.24 |
[2024 한국의 인물 대상 - 뉴로-심볼릭 AI 기반 교육 서비스 기업 부문] 강양석 딥스킬 대표 (0) | 2024.12.02 |
[2024 한국의 인물 대상 - 혁신 디자인 전문 기업 부문] 서승교 (주)하이디그룹 대표 (0) | 2024.12.02 |
[2024 한국의 인물 대상 - 지역 재생 활성화 기업 부문] 김근모 (주)지엠씨에이 대표 (0) | 2024.12.02 |